티스토리 뷰
목차

2025년 4월 25일 기준, 종근당(185750)의 주가 전망이 투자자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.
신약 개발 범위를 대폭 확장하며 세포·유전자치료제(CGT)와 항체·약물접합체(ADC) 항암제 등 첨단 치료법에 집중하고 있는 종근당은 ‘세상에 없던 신약(First-in-class)’과 ‘미충족 의료 수요(Unmet Needs)’를 겨냥한 전략적 파이프라인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.
이 글에서는 종근당의 최근 신약 개발 성과와 2025년 주가 전망을 알기 쉽게 분석해봤습니다.
1. 종근당의 신약 개발 성과: 글로벌 협력과 혁신의 중심
종근당은 개방형 혁신(Open Innovation)을 통해 글로벌 협력을 강화하며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주요 성과는 다음과 같습니다:
-
ADC 기술 도입: 2023년 2월 네덜란드 시나픽스(Synaffix)와 계약을 체결해 △글리코커넥트(GlycoConnect™) △히드라스페이스(HydraSpace™) △톡신(toxSYN™) 플랫폼 사용권을 확보. 이를 통해 차세대 ADC 항암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.
-
CGT 분야 진출: 2022년 2월 이엔셀과 MOU를 체결하고, 9월 서울성모병원에 유전자치료제 연구센터 ‘Gen2C’ 설립. 희귀·난치성 질환을 타깃으로 한 ‘언드러거블 타깃(Undruggable Target)’ 치료제 개발에 집중.
-
역대 최대 기술 수출: 2023년 11월, 히스톤탈아세틸화효소6(HDAC6) 억제제 ‘CKD-510’의 기술 수출로 글로벌 제약사와 약 13억500만 달러(약 1조7300억원) 규모 계약 체결. 이는 심혈관계 질환 치료제로서 유의미한 전임상 결과를 기반으로 한 성과.
2.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: 다각화된 성장 동력
종근당은 다양한 적응증을 타깃으로 한 신약 파이프라인을 운영하며 만성질환부터 항암제까지 폭넓은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:
-
CKD-508 (이상지질혈증 치료제):
-
CETP 억제제로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HDL 콜레스테롤을 높이는 2세대 약물.
-
기존 약물의 오프타깃 효과와 안정성 문제를 개선.
-
2024년 11월 미국 FDA로부터 임상 1상 시험계획 승인, 미국 내 임상 진행 중.
-
-
CKD-702 (비소세포폐암 치료제):
-
EGFR와 c-Met을 동시에 표적하는 이중항체 바이오신약.
-
2022년 9월 유럽종양학회(ESMO)에서 임상 1상 데이터를 발표하며 항종양 효과와 안전성 확인.
-
기존 표적항암제의 내성 문제를 극복할 가능성 주목.
-
-
CKD-703 (ADC 항암제):
-
c-Met 항체와 시나픽스 ADC 기술 결합.
-
암세포 선택적 사멸 유도, 차세대 항암제로서 성장 가능성 높음.
-
3. 2025년 종근당 주가 전망: 긍정적 요인과 리스크
종근당의 주가는 신약 개발 성과와 글로벌 협력 확대를 기반으로 2025년 상승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습니다. 그러나 일부 리스크도 고려해야 합니다.
-
긍정적 요인:
-
신약 개발 가속화: CKD-510의 기술 수출 성공과 CKD-508, CKD-702, CKD-703 등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전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.
-
재무 안정성: 2024년 매출은 1조 5,864억원으로 전년 대비 5% 감소했으나, 무차입 경영과 안정적인 현금흐름으로 변동성 대응 가능.
-
시장 환경: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과 제약 산업에 대한 수요 증가가 종근당 주가에 긍정적 영향.
-
과거 분석 참고: 2023년 분석에 따르면, 종근당 주가는 60일 및 180일 이동평균선의 골든 크로스 발생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, 당시 목표가는 105,000원으로 설정됨.
-
-
리스크 요인:
-
실적 변동성: 2024년 영업이익이 994억원으로 전년 대비 59.7% 감소하며 기저효과(2023년 CKD-510 계약금) 영향. 2025년 실적 회복 여부가 주가에 영향.
-
R&D 비용 부담: 신약 개발에 매출의 10% 이상을 지속 투자 중이며, 단기적으로 비용 증가가 수익성에 압박.
-
시장 변동성: 2025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미국 대선 이후 정책 변화(예: 관세 정책)가 제약주에 영향을 줄 가능성.
-
4. 주가 전망 및 투자 전략
2025년 4월 25일 기준, 종근당 주가는 약 78,700원 수준으로 거래되고 있습니다(연합인포맥스, 2025-04-18 기준).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전망을 제시하고 있습니다:
-
목표가:
-
NH투자증권은 2025년 2월 보고서에서 목표가를 115,000원으로 설정(기존 130,000원에서 하향).
-
2023년 분석에서는 105,000원으로 설정된 바 있으며, 현재 주가 대비 약 33~46% 상승 여력.
-
-
투자 의견: 매수 유지. 신약 파이프라인의 임상 성공 가능성과 밸류에이션 반등 기대.
-
예상 매출: 2025년 연간 매출은 약 1조 7,012억원으로 전년 대비 9% 증가 전망(NH투자증권). 그러나 영업이익은 865억원으로 2% 감소 예상.
-
투자 전략:
-
지지선: 75,000원 부근에서 추가 매수 고려.
-
저항선: 97,000원 부근에서 부분 매도 검토.
-
손절가: 70,000원으로 설정해 리스크 관리.
-
5. 자주 묻는 질문 (FAQ)
-
종근당 주가는 2025년에도 상승세를 유지할까요?
신약 개발 성과와 글로벌 협력 확대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며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. 다만, R&D 비용과 시장 변동성에 주의가 필요합니다. -
종근당의 주요 신약 파이프라인은 무엇인가요?
CKD-508(이상지질혈증), CKD-702(비소세포폐암), CKD-703(ADC 항암제) 등이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. -
투자 리스크는 무엇인가요?
2025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실적 변동성, R&D 비용 증가가 주요 리스크 요인입니다.
6. 결론: 종근당, 신약 개발로 2025년 성장 기대
2025년 4월 25일 기준, 종근당은 신약 개발과 글로벌 협력을 통해 헬스케어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. CKD-510 기술 수출 성공과 다양한 파이프라인의 임상 진전은 주가 상승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 다만, 실적 변동성과 시장 리스크를 고려한 신중한 투자 전략이 필요합니다. 종근당의 2025년 성장 가능성을 주목해보세요!